[정보처리 산업기사 필기] 테스트 및 배포 01

Updated:

개발 지원 도구(2022-02-21)

  • 통합 개발 환경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 통합 개발 환경은 개발에 필요한 환경, 즉 편집기(Editor), 컴파일러 (Compiler), 디버거(Debugger) 등의 다양한 툴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통합 하여 제공하는 환경을 말함
    • 통합 개발 환경 도구는 통합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함
    • 통합 개발 환경 도구는 코드를 실행하거나 테스트할 때 오류가 발생한 부분을 시각화하므로 수정이 용이함

통합 개발 환경 도구의 종류

  • 이클립스(Eclipse)
    • 개발사 : Eclipse Foundation, IBM
    • 플랫폼 : 크로스 플랫폼
    • 운영체제 : Windows ,Linux , MacOS 등
    • 지원 언어 : JAVA, C, C++, PHP, JSP 등
  • 비주얼 스튜디오(Visual Studio)
    • 개발사 : Microsoft
    • 플랫폼 : Win32, Win64
    • 운영체제 : Windows
    • 지원 언어 : Basic, C, C++, C#, .NET
  • 엑스 코드(Xcode)
    • 개발사 : Apple
    • 플랫폼 : Mac , iPhone
    • 운영체제 : MacOS, IOS
    • 지원 언어 : C, C++ , C#, Java, AppleScript 등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
    • 개발사 : Google
    • 플랫폼 : Android
    • 운영체제 : Windows, Linux,MacOS
    • 지원 언어 : Java, C, C++
  • IDEA 개발사 : JetBrains
    • 플랫폼 : 크로스 플랫폼
    • 운영체제 : Windows, Linux,MacOS
    • 지원 언어 : Java, JSP, XML, Go, Kotlin, PHP등

빌드 도구

  • 빌드는 소스 코드 파일들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제품 소프트웨어로 변환하는 과정 또는 결과물을 말함
  • 빌드 도구는 전처리(Preprocessing), 컴파일(Compile) 등의 작업을 수행함

대표적인 빌드 도구

  • Ant(Another Neat Tool)
  • Maven
  • Gradle

기타 협업 도구

  • 협업 도구는 개발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서로 다른 작업환경에서 원활히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 협업 소프트웨어, 그룹웨어(Groupware) 등으로도 불림
  • 일정 관리, 업무흐름 관리, 정보 공유, 커뮤니케이션 등의 업무 보조 도구가 포함됨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는 애플리케이션에 잠재되어 있는 결함을 찾아내는 일련의 행위 또는 절차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는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고객의 욕사항을 만족시키는지 확인(Validation)하고 소프트웨어가 기능을 정확히 수행하는지 검증(Verification)함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기본 원리

  • 완벽한 테스트 불가능
    • 소프트웨어의 잠재적인 결함을 줄일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결함이 없다고 증명할 수는 없음
  • 파레토 법칙(Pareto Principle)
    • 애플리케이션의 20%에 해당하는 코드에서 전체 결함의 80%가 발견된 다는 법칙
  • 살충제 패러독스(Pesticide Paradox)
    • 동일한 테스트 케이스로 동일한 테스트를 반복하면 더 이상 결함이 발견 되지 않는 현상
  • 테스팅은 정황(Context) 의존
    • 소프트웨어의 특징, 테스트 환경, 테스터의 역량 등 정황(Context)에 따라 테스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황에 따라 테스트를 다르게 수행해야함
  • 오류-부재의 궤변(Absence of Erros Fallacy)
    •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모두 제거해도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해당 소프트웨어는 품질이 높다고 말할 수 없는 것
  • 테스트와 위험은 반비례
    • 테스트를 많이 하면 할수록 미래에 발생할 위험을 줄일 수 있음
  • 테스트의 점진적 확대
    • 테스트는 작은 부분에서 시작하여 점점 확대하며 진행해야함
  • 테스트의 별도 팀 수행
    • 테스트는 개발자와 관계없는 별도의 팀에서 수행해야 함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분류

프로그램 실행 여부에 따른 테스트

  • 정적 테스트
    •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명세서나 소스 코드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테스트
    • 소스 코드에 대한 코딩 표준, 코딩 스타일, 코드 복잡도, 남은 결함 등을 발견 하기 위해 사용함
    • 종류 : 워크 스루, 인스펙션 , 코드 검사 등
  • 동적 테스트
    •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오류를 찾는 테스트
    •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테스트를 수행함
    • 종류 : 블랙박스 테스트, 화이트박스 테스트

테스트 기반(Test Bases)에 따른 테스트

  • 명세 기반 테스트
    •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명세를 빠짐없이 테스트 케이스로 만들어 구현하고 잇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 종류 : 동등 분할, 경계 값 분석 등
  • 구조 기반 테스트
    • 소프트웨어 내부의 논리 흐름에 따라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확인하는 테스트
    • 종류 : 구문 기반, 결정 기반, 조건 기반 등
  • 경험 기반 테스트
    • 유사 소프트웨어나 기술 등에 대한 테스터의 경험을 기반으로 수행하는 테스트
    • 상ㅇ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명세가 불충분하거나 테스트 시간에 제약이 있는 경우 수행하면 효과적임
    • 종류 : 에러 추정, 체크 리스트, 탐색적 테스팅

시각에 따른 테스트

  • 검증(Verification) 테스트
    • 개발자의 시각에서 제품의 생산 과정을 테스트하는 것
    • 제품이 명세서대로 완성됐는지를 테스트함
  • 확인(Validation) 테스트
    • 사용자의 시각에서 생산된 제품의 결과를 테스트하는 것
    • 사용자가 요구한대로 제품이 완성됐는지, 제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테스트함

목적에 따른 테스트

  • 회복(Recovery) 테스트
    • 시스템에 여러가지 결함을 주어 실패하도록 한 후 올바르게 복구되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
  • 안전(Security) 테스트
    • 시스템에 설치된 시스템 보호 도구가 불법적인 침입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
  • 강도(Stress) 테스트
    • 시스템에 과도한 정보량이나 빈도 등을 부과하여 과부하 시에도 소프트웨어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
  • 성능(Performance) 테스트
    • 소프트웨어의 실시간 성능이나 전체적인 효율성을 진단하는 테스트로, 소프트웨어의 응답시간, 처리량 등을 테스트
  • 구조(Structure) 테스트
    • 소프트웨어 내부의 논리적인 경로, 소스 코드의 복잡도 등을 평가하는 테스트
  • 회귀(Regression) 테스트
    • 소프트웨어의 변경 또는 수정된 코드에 새로운 결함이 없음을 확인하는 테스트
  • 병행(Parallel) 테스트
    • 변경된 소프트웨어와 기존 소프트웨어에 동일한 데이터를 입력 하여 결과를 비교하는 테스트

테스트 기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 A

화이트박스 테스트(White Box Test)

  •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모듈의 원시 코드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원시 코드의 논리적인 모든 경로를 테스트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방법임
  • 모듈 안의 작동을 직접 관찰함
  • 원시 코드(모듈)의 모든 문장을 한 번 이상 실행함으로써 수행됨

화이트 박스 테스트의 종류

  • 기초 경로 검사(Base Path Testing)
    • 테스트 케이스 설계자가 절차적 설계의 논리적 복잡성을 측정할 수 있게 해주는 테스트 기법
    • 대표적인 화이트박스 테스트 기법임
  • 제어 구조 검사(Control Structure Testing)
    • 조건 검사(Condition Testing) : 프로그램 모듈 내에 있는 논리적 조건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법
    • 루프 검사(Loop Testing) : 프로그램의 반복(Loop) 구조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는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법
    • 데이터 흐름 검사(Data Flow Testing) : 프로그램에서 변수의 정의와 변수 사용의 위치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는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법

화이트 박스 테스트의 검증 기준

  • 문장 검증 기준(Statement Coverage)
    • 소스 코드의 모든 구문이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함
  • 분기 검증 기준(Branch Coverage)
    • 소스코드의 모든 조건문이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함
  • 조건 검증 기준(Condition Coverage)
    • 소스 코드의 모든 조건문에 대해 조건이 True인 경우와 False인 경우가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함
  • 분기/조건 기준(Branch/Condition Coverage)
    • 소스 코드의 모든 조건문과 각 조건문에 포함된 개별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인 경우와 False 인 경우가 한 번 이상 수행되도록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함

블랙박스 테스트(Black Box Test)

  • 블랙박스 테스트는 소프트웨어가 수행할 특정 기능을 알기 위해서 각 기능이 완전히 작동되는 것을 입증하는 테스트로, 기능 테스트라고도 함
  • 사용자의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테스트함
  • 주로 구현된 기능을 테스트함
  •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됨

블랙박스 테스트의 종류

  • 동치 분할 검사(Equivalence Partitioning Testing, 동치 클래스 분해)
    • 프로그램의 입력 조건에 타당한 입력 자료와 타당하지 않은 입력 자료의 개수를 균등하게 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정하고, 해당 입력 자료에 맞는 결과가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기법
    • 동등 분할 기법이라고도 함
  • 경계값 분석(Boundary Value Analysis)
    • 입력 조건의 중간값보다 경계값에서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하여 입력 조건의 경계값을 테스트 케이스로 선정하여 검사하는 기법
  • 원인-효과 그래프 검사(Cause-Effect Graphing Testing)
    • 입력 데이터 간의 관계와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다음 효용성이 높은 테스트 케이스를 선정하여 검사하는 기법
  • 오류 예측 검사(Error Guessing)
    • 과거의 경험이나 확인자의 감각으로 테스트 하는 기법
  • 비교 검사(Comparison Testing)
    • 여러 버전의 프로그램에 동일한 테스트 자료를 제공하여 동일한 결과가 출력되는지 테스트하는 기법

개발 단계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 A

개발 단계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 소프트웨어의 개발 단계에 따라 단위 테스트, 통합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인수 테스트로 분류됨 이렇게 분류된 것을 테스트 레벨이라고 함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와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를 연결하여 표현한 것을 V-모델 이라고 함
  • 소프트웨어 개발단계
    • 요구사항(Requirements) -> 분석(Specification) -> 설계(Design) -> 구현(Code)
  • 테스트 단계
    • 단위 테스트(Unit Testing) -> 통합 테스트(Integraion Testing) -> 시스템 테스트(System Testing) -> 인수 테스트(Acceptance Testing)

단위 테스트(Unit Test)

  • 단위 테스트는 코딩 직후 소프트웨어 설계의 최소 단위인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 하는 것
  • 인터페이스, 외부적 I/O, 자료 구조, 독립적 기초 경로, 오류 처리 경로, 경계 조건 등을 검사함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테스트를 최우선으로 수행함
  • 구조 기반 테스트와 명세 기반 테스트로 나뉘지만 주로 구조 기반 테스트를 시행함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

  • 통합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가 완료된 모듈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완성시키는 과정에서의 테스트를 의미함
  • 모듈 간 또는 통합된 컴포넌트 간의 상호 작용 오류를 검사함

시스템 테스트(System Test)

  • 시스템 테스트는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서 완벽하게 수행되는가를 점검하는 테스트
  • 기능적 요구사항과 비기능적 요구사항으로 구분하여 각각을 만족하는지 테스트함

인수 테스트(Acceptance Test)

  • 인수 테스트는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테스트하는 방법임
  • 인수 테스트는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사용자가 직접 테스트함
  • 인수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6가지의 종류로 구분해서 테스트함

인수 테스트의 종류

  • 사용자 인수 테스트
    • 사용자가 시스템 사용의 적절성 여부를 확인함
  • 운영상의 인수 테스트
    • 시스템 관리자가 시스템 인수 시 수행하는 테스트 기법
  • 계약 인수 테스트
    • 계약상의 인수/검수 조건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
  • 규정 인수 테스트
    • 소프트웨어가 정부 지침, 법규, 규정 등 규정에 맞게 개발 되었는지 확인함
  • 알파 테스트
    • 개발자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개발자 앞에서 행하는 테스트 기법
    • 테스트는 통제된 환경에서 행해지며, 오류와 사용상의 문제점을 사용자와 개발자가 함께 확인하면서 기록함
  • 베타 테스트
    • 선정된 최종 사용자가 여러 명의 사용자 앞에서 행하는 테스트 기법
    • 실업무를 가지고 사용자가 직접 테스트

통합테스트(Integration Test)

  • 통합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가 끝난 모듈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결함을 찾는 테스트 기법
  • 종류
    • 비 점진적 통합방식
    • 단계적으로 통합하는 절차 없이 모든 모듈이 미리 결합되어 있는 프로그램 전체를 테스트하는 방법
    • 종류 : 빅뱅 통합 테스트 방식
    • 점진적 통합 방식
      • 모듈 단위로 단계적으로 통합하면서 테스트하는 방법
      • 종류 : 하향식 통합 테스트, 상향식 통합 테스트, 혼합식 통합 테스트

하향식 통합 테스트(Top Down Integration Test)

  • 하향식 통합 테스트는 프로그램의 상위 모듈에서 하위 모듈 방향으로 통합하면서 테스트하는 기법
  • 깊이 우선 통합법이나 넓이 우선 통합법을 사용함

하향식 통합 테스트 절차

  1. 주요 제어 모듈은 작성된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주요 제어 모듈의 종속 모듈들은 스텁(Stub)으로 대체함
  2. 깊이 우선 또는 넓이 우선 등의 통합 방식에 따라 하위 모듈인 스텁들이 한 번에 하나씩 실제 모듈로 교체됨
  3. 모듈이 통합될 때마다 테스트를 실시함
  4. 새로운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을 보증하기 위해 회귀 테스트를 실시함

상향식 통합 테스트(Bottom Up Integration Test)

  • 상향식 통합 테스트는 프로그램의 하위 모듈에서 상위 모듈 방향으로 통합하면서 테스트하는 기법

상향식 통합 테스트 절차

  1. 하위 모듈들을 클러스터(Cluster)로 결합함
  2. 상위 모듈에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확인하기 위해 더미 모듈인 드라이버(Driver)를 작성함
  3. 통합된 클러스터 단위로 테스트 함
  4. 테스트가 완료되면 클러스터는 프로그램 구조의 상위로 이동하여 결합하고 드라이버는 실제 모듈로 대체됨

혼합식 통합 테스트

  • 혼합식 통합 테스트는 하위 수준에서는 상향식 통합, 상위 수준에서는 하향식 통합을 사용하여 최적의 테스트를 지원하는 방식임
  • 샌드위치(Sandwich)식 통합 테스트 방법이라고도 함

회귀 테스팅(Regression Testing)

  • 회귀 테스트는 통합 테스트로 인해 변경된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새로운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 이미 테스트된 프로그램의 테스팅을 반복하는 것
  • 회귀 테스트는 수정한 모듈이나 컴포넌트가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오류가 생기지 않았는지 테스트하여 새로운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을 보증하기 위해 반복 테스트함

사용자 인터페이스 - A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도와주는 장치나 소프트웨어를 의미함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세 가지 분야
    • 정보 제공과 전달을 위한 물리적 제어에 관한 분야
    • 콘텐츠의 상세적인 표현과 전체적인 구성에 관한 분야
    •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에 관한 분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분

  • CLI(Command Line Interface)
    • 명령과 출력이 텍스트 형태로 이뤄지는 인터페이스
  • GUI(Graphical User Interface)
    • 아이콘이나 메뉴를 마우스로 선택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그래픽 환경의 인터페이스
  • NUI(Natural User Interface)
    • 사용자의 말이나 행동으로 기기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원칙

  • 직관성 :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함
  • 유효성 :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고 완벽하게 달성해야 함
  • 학습성 :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어야함
  • 유연성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고 실수를 최소화해야함

소프트웨어 버전 등록 - A

소프트웨어 패키징의 형상관리

  • 형상관리(SCM: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는 개발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변경 사항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일련의 활동이다.
  • 형상 관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 단계에 적용되는 활동이며, 유지보수 단계에서도 수행된다.
  • 형상 관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체 비용을 줄이고, 개발 과정의 여러 방해 요인이 최소화되도록 보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형상 관리 기능

  • 형상 식별
  • 버전 제어
  • 형상 통제
  • 형상 감사
  • 형상 기록

소프트웨어의 버전 등록 관련 주요 기능

  • 저장소(Repository)
  • 가져오기(Import)
  • 체크아웃(Check-Out)
  • 체크인(Check-In)
  • 커밋(Commit)
  • 동기화(Update)

소프트웨어 버전 등록 과정

  1. 가져오기(Import)
  2. 인출(Check-out)
  3. 예치(Commit)
  4. 동기화(Update)
  5. 차이(Diff)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도구 - B

공유 폴더 방식

  • 공유 폴더 방식은 버전 관리 자료가 지역 컴퓨터의 공유 폴더에 저장되어 관리 되는 방식이다.
  • 파일을 잘못 복사하거나 다른 위치로 복사하는 것에 대비하기 위해 파일의 변경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관리한다.
  • 종류 : SCCS, RCS, PVCS, QVCS 등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은 버전 관리 자료가 서버에 저장되어 관리 되는 방식이다.
  • 모든 버전 관리는 서버에서 수행된다.
  •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서버가 복구되기 전까지 다른 개발자와의 협업 및 버전 관리 작업은 중단된다.
  • 종류 : CVS, SVN, CVSNT, Clear Case, CMVC, Perforce 등

분산 저장소 방식

  • 분산 저장소 방식은 버전 관리 자료가 하나의 원격 저장소와 분산된 개발자 PC의 지역 저장소에 함께 저장되어 관리되는 방식이다.
  • 지역 저장소에서 버전 관리가 가능하므로 원격 저장소에 문제가 생겨도 지역 저장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다.
  • 종류 : Git, GNU arch, DCVS, Bazaar, Mercurial, Team Ware, Bitkeeper, Plastic SCM 등

Subversion(서브버전, SVN)

  • Subversion은 CVS를 개선한 것으로,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2000년에 발표하였다.
  •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서버(저장소, Repository)에는 최신 버전의 파일들과 변경 사항이 관리된다.
  • 소스가 오픈되어 있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 CVS의 단점이었던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이름 변경, 이동 등이 가능하다
  • Subversion의 주요 명령어
    • add, commit, update, checkout, lock/unlock, import, export, info, diff, merge

Git(깃)

  • Git은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가 2005년 리눅스 커널 개발에 사용할 관리 도구로 개발한 이후 주니오 하마노(Junio Hanmano)에 의해 유지 보수 되고 있다.
  •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2개의 저장소, 즉 지역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가 존재한다.
  • 버전 관리가 지역 저장소에서 진행되므로 버전 관리가 신속하게 처리되고, 원격 저장소나 네트워크에 문제가 있어도 작업이 가능하다.
  • Git의 중 명령어
    • add, commit, branch, checkout, merge, init, remote add, push, fetch, clone, fork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B (2022-02-24)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
    •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와 가상 세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기술
  • M2M(Machine to Machine, 사물 통신)
    •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기계와 기계 사이의 통신
    • 변압기 원격 감시, 전기, 가스 등의 원격 검침, 무선 신용카드 조회기, 무선 보안 단말기, 버스 운행 시스템, 위치 추적 시스템, 시설물 관리 등을 무선으로 통합하여 상호 작용하는 통신
  • 모바일 컴퓨팅(Mobile Computing)
    • 휴대형 기기로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각종 컴퓨팅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화된 환경
  •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초고속 인터넷망으로 연결하여 공유함으로써 하나의 고성능 컴퓨터처럼 활용하는 기술
  •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MCC; Mobile Cloud Computing)
    • 소비자와 소비자의 파트너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로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구성하여 여러가지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는 ICT 기술
  • 인터클라우드 컴퓨팅(Inter-Cloud Computing)
    • 각기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동하거나 컴퓨팅 자원의 동적 할당이 가능하도록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나 자원을 연결하는 기술
  •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
    •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킹, 공공 안전 등 특수 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
    •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 되어 있음
  • 와이선(Wi-SUN)
    •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장거리 무선 통신을 필요로 하는 사물 인터넷(IoT)서비스를 위한 저전력 장거리(LPWA: Low-Power Wide Area) 통신 기술
  • NDN(Named Data Networking)
    • 콘텐츠 자체의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기술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패킷의 헤더에 내장되어 있는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되던 기존의 IP(Internet Protocol) 망을 대체할 새로운 인터넷 아키텍처로 떠오르고 있음
  • NGN(Next Generation Network, 차세대 통신망)
    • ITU-T에서 개발하고 있는 유선망 기반의 차세대 통신망
    • 유선망뿐만 아니라 이동 사용자를 목표로 하며, 이동통신에서 제공하는 완전한 이동성(Full Mobility) 제공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음

Leave a comment